칭찬을 못 받아들이는 아이, 왜 그럴까?
“정말 잘했어!”라고 말하면 고개를 돌리거나, “그냥 한 건데요…” 하며 반응이 차가운 아이. 기특하고 자랑스러워서 한 말인데, 오히려 어색하거나 불편해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는 당황하게 됩니다. 2025년 현재 아동 심리학에서는 칭찬에 익숙하지 못한 아이일수록 ‘자기 인정’보다 ‘불신’을 먼저 배우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칭찬을 어색해하는 아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부모가 어떤 말과 행동으로 자존감을 도와줄 수 있을지 이야기합니다.
칭찬이 익숙하지 않으면 ‘불편한 감정’부터 생길 수 있어요
elementary student rejects praise
칭찬이 기뻐야 한다는 건 어른의 기준일 수 있어요. 칭찬을 자주 받아보지 못했거나, 칭찬 뒤에 늘 기대나 조건이 붙어 있던 아이는 ‘칭찬 = 압박’으로 느끼게 됩니다.
이럴 땐 “기분 좋지?”보다 “이거 하면서 어떤 마음이 들었어?”라고 물어보는 게 훨씬 도움이 됩니다. 감정의 방향을 부모가 정해주기보다, 아이 스스로 느끼고 말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결과보다는 감정과 선택을 인정해 주세요
elementary student emotional validation
“잘했어”보다 “그걸 선택한 너의 마음이 참 좋다”라는 말이 아이에겐 더 큰 힘이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은 결과보다 ‘존중받는 경험’ 속에서 자랍니다.
2025년 현재, 부모 교육에서는 ‘감정 중심 피드백’과 ‘행동의 이유를 묻는 대화’가 자존감을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칭찬보다 중요한 건, 아이가 스스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돕는 과정입니다.
칭찬을 거절해도, 부모의 따뜻한 시선은 계속 보여주세요
elementary student internal self-worth
칭찬에 쑥스러워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해서, 아이가 무례하거나 감사할 줄 모르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그런 반응 뒤엔 ‘자기 의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나는 네가 정말 멋지다고 생각해” “네가 기뻐하지 않아도, 나는 자랑스러워” 이런 일관된 메시지가 아이의 내면을 조금씩 바꿔줍니다.
오늘의 약속
칭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건 더 큰 칭찬이 아니라 더 안정된 연결입니다. 아이의 기분을 먼저 물어보고, 스스로를 인정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세요. 오늘은 결과보다 아이의 선택과 감정에 집중하며 “넌 너답게 잘했어”라는 말을 건네보세요.
'2.🧠 정서 코칭 & 부모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아이, 왜 사과를 피할까? (0) | 2025.05.01 |
---|---|
자꾸 일부러 느리게 행동하는 아이, 왜 그러는 걸까 (0) | 2025.05.01 |
욕심 많은 아이, 나쁘다고만 할 수 있을까? (0) | 2025.05.01 |
거짓말처럼 자꾸 변명하는 아이, 왜 그럴까? (0) | 2025.05.01 |
실수하면 무조건 숨기는 아이, 왜 그럴까 (0) | 2025.05.01 |